가계도 [genogam]
보웬 가족 치료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법으로 3세대 이상의 확대가족관계를 도표화한 것이다. 가족 면담에서 수집된 복잡한 정보를 하나의 도표로 집약하여 가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자가 치료 전략이나 가설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가계도는 가족 성원이 자신들을 새로운 시점에서 볼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치료에서 가족과 합류하는 중요한 방법이 된다. 이것은 공간과 시간을 통해 가족 문제를 추적하도록 돕는 체계적 관점을 만들어 내어 가족의 정서적 문제를 재해석하기도 하고 정상화할 수 있다. (관련 용어: 가족지도)
가설 설정[hypothesizing]
가설은 치료 면담에 앞서서 입수한 정보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파라 졸리의 밀란 모델에서는 가족 치료를 할 때, 이와 같은 가설 설정을 중시한다. 그들은 가족이 어떤 생활 주기에 있는가를 가설 설정에 포함시키는 것을 중시한다. 왜냐하면 가설 설정은 가족의 생활 주기에는 몇 차례의 과도기가 있는데, 그 시기에 증상이 나타나 가족 체계의 붕괴나 불안정을 방지하는 일종의 해결책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설 설정을 할 때, 증상이나 문제행동이 가족 체계의 유지나 안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기본적인 전제를 가지고 가설을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밀란 모델에서는 면담의 주요 기능을 치료계획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세운 가설을 검증하여 그것을 수정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가설 설정은 가설을 만들고 그것을 확인하거나 검증하는 과정 속에서 다른 가설이 재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가족 규칙[family rules]
잭슨에 의하면 가족은 규칙에 지배되는 체계이다. 즉, 가족 성원은 조직화된 반복적인 방법으로 행동하여, 그러한 행동의 유형화가 가족생활을 지배하는 원리로 보일 가능성이 있다. 그는 반복적인 가족기능을 만들어 내는, 가족이 공유하는 규범이나 가치관의 기제를 가족규칙이라고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어떤 가족은 의견의 불일치란 갈등이나 폭력을 증폭시킬 위협이 있다고 생각하여 의견 불일치를 금지하는 가족 규칙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가족은 친밀한 감정은 결코 표현되지 않는다는 가족규칙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가족 규칙은 가족 성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견의 불일치가 가족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생각하는 가족은 가족규칙은 내재적인 불문율처럼 기능하므로 치료자와 달리 가족 자신들은 가족 규칙을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밀란 모델의 가족 치료에서는 가족 의식을 통하여 가족 규칙에서 보이는 문제의 행동양식이 없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여 가족 규칙은 종종 어떤 의식으로 가족에게 실행하도록 처방되기도 한다.(관련 용어 : 항상성, 거짓 보완성)
가족 신화[family myths]
가족 성원 모두에게 받아들여지고 지지되는 가족의 믿음으로서 특정의 정형화된 관계나 기능을 의미한다. 페레이라는 가족 신화란 가족의 살아 있는 동화집으로, 가족 어느 누구도 없애거나 버리려고 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한 가지 예를 들어 보자. 결혼은 서로에 대한 기대로 시작된다. 그러나 많은 부부는 이러한 기대는 반드시 충족되지 않으며 오히려 기대에서 멀어져 간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부부가 '부부끼리는 비밀이 있어서는 안 된다.'거나 '부부싸움은 불화의 증거이므로 이상적인 부부는 싸워서는 안 된다.'등의 경직된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비합리적인 생각을 가족의 신화라고 한다. 그러나 좋은 의미에서나 나쁜 의미에서나 가족 신화가 결혼생활을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 한마디로 말하면 신화는 독특한 주제나 암묵의 규칙이 공유된 명백한 환상이다. 신화는 응집성과 안정을 보장하여 개인에게 방어 지제와 같은 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청년기 자녀가 분리하는 등의 어떤 가족 성원이 체계에서 분리하려고 할 때, 파괴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가족위치[constellation]
토만의 가족 위치에 대한 개념은 보웬이 출생순위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토만에 의하면 가족위치란 형제, 부부, 부모 자녀의 관계 유형을 의미하며, 이것은 성격과 사회적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그는 가족에 관한 비교연구에서 대부분의 가족은 자녀의 출생순위가 성격이나 가치관,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예를 들면, 맏아이는 자신에게 선악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거나 동생들을 돌보는 경향이 있으며 책임감이 강하다. 또한 맏아이는 부모의 대리역할을 하거나 삼각관계에 휘말리기 쉽다. 반대로 막내는 의존적이며 가족이 어떤 결정을 할 때, 그에게 의견을 묻는 일이 적으며 어떤 일을 솔선해서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출생순위는 배우자의 선택에도 영향을 주며 가족 내의 규칙 결정에 작용하기도 한다.
가족지도[family map]
미뉴친은 가족 치료의 전반부에는 가족의 상호 교류 유형을 파악하는데 큰 비중을 두었다. 이러한 관찰을 토대로 역기능의 유형이나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분석하여 그것을 근거로 가설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때 미뉴친은 가족 구조를 부호로 표현하였는데, 이를 가족지도라고 한다. 즉, 면담을 통하여 가족 내의 세력관계나 의사소통방법, 정서 등을 관찰하여 이것을 가설로써 조직적으로 도식화하여 가족의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다. 가계도와는 달리 관심사를 중심으로 가족 성원의 위치를 표시한다. 가족의 연합이나 경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가족 내에서 잘 기능하고 있는 영역과 잘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에 대해 여러 가지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가족 지도는 치료자가 치료 목표를 설정할 때 도움이 되는 기법의 하나이다.( 관련 용어 : 가계도, 연합, 경계)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가족 치료 용어 설명 2 (0) | 2021.09.05 |
---|---|
사례로 본 가족 역동성 3 (0) | 2021.07.31 |
사례로 본 가족 역동성 2 (0) | 2021.07.30 |
사례로 본 가족역동성1 (0) | 2021.07.29 |
이야기 치료의 치료기법 2 (0) | 2021.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