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 치료 목표: 경험적 가족 치료자의 목표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가족을 안정된 상황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성장시키려는 것이다. 감수성, 느낌의 표현, 자발성과 창조성, 확실성의 성장이 치료의 전형적 목표이다. 그들은 물론 증상의 감소나 사회적 적응도 중시하였지만, 내면의 경험이나 그러한 경험의 확대를 가족치료의 기본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치료적 개입은 독자적이고 도전적이며 때로는 상식을 뛰어넘는 특유한 것이다. 치료자는 가족이 자기 인식, 자기 신뢰, 인간적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만약 이러한 치료적 개입이 성공할 수 있다면 환자와 치료자 모두의 성장이 촉진된다고 믿었다. 휘태커는 가족 성원에게 가족의 부분으로서 소속감을 가지게 하는 동시에, 독립된 개인으로서 자유를 인식할 수 있도록 원조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가족이 치료를 받으러 오는 이유는 그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능력과 개별화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되는 방법은 과거의 경험을 통해 우리 내면의 깊은 곳에 잠재 디어 있는 충족되지 못한 욕구와 기대를 드러내 놓는 것이다. 그는 가족은 이러한 것을 경험할 수 있는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치료자의 역할은 치료과정을 통하여 이와 같은 잠재력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그는 가족의 특징에 따라 자극을 하기도 하고 반대로 따뜻하게 지지하기도 하면서 가족이 충분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사티어의 성장 의사소통 치료는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자기 인생에 대한 선택권을 스스로 갖도록 돕는 개인의 성장을 최대의 목표로 삼았다. 한 개인의 성장은 가족체계의 건강과 통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우선, 가족이 희망을 찾고 미래에 대한 꿈을 갖도록 도와야 한다. 사티어는 구체적으로 치료를 통해 개인의 낮은 자존감을 회복시켜 자신의 가치를 인정할 수 있는 감정과 자원을 발견하도록 도왔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원조하였다. 그녀는 이러한 치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족체계에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나도록 시도하였다. 첫째, 각 가족 성원들은 다른 사람이 있는 데서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에 관하여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관해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각 개인은 자신이 다른 사람과 다른 점에 관해 말할 수 있으며 그것을 존중되어야 한다. 셋째, 서로의 차이점을 인식하며, 성장을 위하여 이러한 차이점을 사용하도록 한다.

3) 주요 개념: 경험적이라는 용어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경험적 가족치료에서는 이론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지 않는다. 그들은 가족과 깊은 교류를 가짐으로써 가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치료에 임한다. 경험, 만남, 직면, 성장, 존재, 행동, 지금 여기 등은 경험적 가족 치료자가 즐겨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들은 치료적 변화는 경험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지적 반응이나 문제의 근원을 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치료는 가족과 치료자 사이의 친밀한 관계이며, 개개인의 가족 성원뿐만 아니라 전체 가족체계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과정이다. 모든 경험주의 가족 치료자는 선택, 자유의지, 특히 자기 결정과 자기 달성을 위한 인간 능력을 강조한다. 경험주의적 가족치료는 현상학적 기술, 심리극, 환자중심의 만남, 집단 운동의 결과이다. 혼란스럽고 역기능적인 행동은 성장과정 중의 일시적인 실패이며, 단지 그들의 능력과 가능성을 표현하는 데 무엇인가 부족한 결과로 보았다. 환경요인에 의하여 개인의 충동이 부정되고 감정을 억제하는 것에서 역기능이 생기며, 이로 인해 성장은 지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치료는 치료자와 가족이 실질적으로 진실하게 노력하는 대인관계적 만남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각 개인은 독특하기 때문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일반론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획일적인 접근을 하기보다는 치료과정을 통하여 각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깨닫고 이를 개발하도록 도와야 한다.  경험적 가족 치료자는 합리적 사고보다 경험의 우수성을 강조하면서 치료자는 활동적이고 자기 개방을 하며 환자가 자신들의 느낌, 감정, 공상 그리고 보다 내면적인 경험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들이 목표로 하고 있는 지금 여기에서의 감수성, 생활의 경험이 치료를 통해 고무된다. 그들은 가족의 직접적인 만남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넓히려 하기 때문에 때로는 치료과정에서 자신의 취약한 점을 서슴없이 드러내기도 하였다. 휘태커의 개념은 내면 심리에서 대인관계로, 개인에서 가족으로, 심리적인 면에서 체계적인 면으로 발전하였다. 그는 가족은 교육을 통해서가 아니라, 경험의 결과에 의해 변화한다고 보았다. 또한 대부분의 우리 경험은 인식이나 의식 밖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비언어적 또는 상징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는 기본 가정 아래에서 상징적 경험주의 가족치료를 주장하였다. 우리가 외부 현실에 부여하는 의미는 내부 현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가족의 상징적인 내적 세계를 확장시키는 데 관심을 가지는 것이 보다 풍족하고 부유한 삶을 이끄는 데 도움이 된다. 사티어 역시 다른 경험적 치료자와 마찬가지로 행동 이론보다 현상학적 이론이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이론적 배경은 자아 심리학, 행동 이론, 일반 체계 이론, 의사소통 이론 등 다양한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그녀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은 가치체계, 가족규칙, 자존감 의사소통유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티어의 치료는 4개의 전제를 기초로 한다. 첫째, 모든 행동은 합리적 또는 적절한 동기가 있다. 사람은 이미 학습된 것처럼 행동한다면 그것이 그 상황 속에서 그 사람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이다. 둘째, 모든 사람은 치유될 수 있으며, 치유는 치료과정에 내재되어 있다. 내용보다는 과정이 치료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요소라 생각한 그녀의 과정을 이용한 치료방법은 누구보다 개성적이다. 셋째, 마음과 신체는 체계의 한 부분이다. 따라서 신체적 활력과 정서적 안녕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치료를 할 때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회로가 이용되지 않으면 안 된다.

반응형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  (0) 2021.06.21
경험적 가족치료 3  (0) 2021.06.21
경험적 가족치료 1  (0) 2021.06.21
보웬 가족치료2  (0) 2021.05.30
보웬 가족치료 1  (0) 2021.05.30

+ Recent posts